마블 영화 '토르: 러브 앤 썬더'가 글로벌 흥행 수익 3억 달러(한화 3926억 원)를 돌파한 가운데, 한국에서 6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지켰다.
12일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토르: 러브 앤 썬더'가 개봉 첫 주 글로벌 흥행수익 3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북미를 제외한 인터내셔널 기록에 따르면 한국이 흥행 수익 1위 국가에 등극했다.
이 같은 기록은 앞서 북미 제외 전 세계 흥행 수익 1위를 한국이 차지했던 마블의 '블랙 팬서', '블랙 위도우', '이터널스'의 괄목할 만한 전적 그리고 국내 1000만 관객을 동원했던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신드롬을 통해 드러났던 한국 팬들의 놀라운 사랑을 떠오르게 한다.
또한 영진위 통합전산망 기준 '토르: 러브 앤 썬더'는 개봉 이후 6일 연속 전체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 11일 10만 3059명을 불러 모았으며, 누적 관객 수는 186만 7936명을 기록했다.
한편 '토르: 러브 앤 썬더'는 천둥의 신 토르(크리스 헴스워스 분)가 킹 발키리(테사 톰슨 분), 코르그(타이카 와이티티 분) 그리고 마이티 토르로 거듭난 전 여자친구 제인(나탈리 포트만 분)과 팀을 이뤄, 신 도살자 고르(크리스찬 베일)의 우주적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로 절찬 상영 중이다.
With the Marvel movie "Thor: Love and Thunder" surpassing $300 million in global box office profits (KRW 392.6 billion), it has maintained its No. 1 spot in the box office for six consecutive days in Korea.
According to the box office Mojo on the 12th, "Thor: Love and Thunder" surpassed $300 million in global box office revenue in the first week of its release. In particular,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cords except for North America, South Korea has become the No. 1 country in box office profits.
The record reminds us of the remarkable records of Marvel's "Black Panther," "Black Widow" and "Eternals," which topped the world's box office profits except for North America, and the amazing love of Korean fans through the "Avengers: Infinity War" and "Endgame" syndrome, which attracted 10 million viewers in Korea.
In addition, "Thor: Love and Thunder," based on the Youngjin Committee's integrated computer network, has maintained its No. 1 position in the overall box office for six consecutive days since its release. On the 11th, 103,059 people were invited,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audiences was 1,867,936.
Meanwhile, "Thor: Love and Thunder" is showing a story in which Thor (Chris Hemsworth), the god of thunder, teamed up with King Valkyrie (Tessa Thompson), Corg (Taika Wyatti), and his ex-girlfriend Jane (Natalie Portman), who has been reborn as Mighty Thor, against the cosmic th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