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할 때 세제를 많이 넣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세척력과 세제의 양은 비례하지 않는다. 오히려 옷에 남아서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세탁한 옷을 입었는데 몸이 가렵거나 따갑다면 잔류세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의심해봐야 한다. 땀이 많이 묻었거나 오염된 세탁물엔 더 많은 세제를 넣곤 한다. 그러나 세탁의 핵심인 계면활성제 성분은 물속에서 오염 성분과 붙은 뒤 둥근 구를 형성한다. 이 구는 미셀이라 불리는데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에 이르면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는다. 세제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도 세척력이 증가하는 건 아니라는 뜻이다. 오히려 세제의 성분이 옷에 남을 수 있다.
세제엔 계면활성제 외에도 수많은 화학물질들이 들어 있다. ▲강알칼리성 성분으로 고농도에 노출되면 폐렴 위험이 있는 인산트리나트륨 ▲살충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며 화학적 화상을 유발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얼룩 제거 등에 쓰이며 달콤한 향을 내지만 발암성 등급 2A 로 분류된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이다. 이러한 성분들이 섬유 사이에 끼어서 잔류하면 피부세포를 자극한다. 피부의 지질 성분이 파괴돼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한다. 습진, 모낭염 등으로 발전할 수 있고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환자들은 발진을 겪기도 한다.
잔류세제를 없애려면 결국 세제의 양을 줄여야 한다. 찬물에서 잘 녹고 헹굼성이 뛰어난 액체세제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세제 농도가 0.25 % 넘는다면 잔류세제를 남긴다고 한다. 빨래 무게에 따른 표준 세제량을 따르는 게 가장 좋다. 걱정된다면 헹굼 단계에서 식초를 한 컵 넣는 것도 방법이다. 산성인 식초가 알칼리성인 잔류세제를 제거해주기 때문이다.
There are people who put a lot of detergent in the laundry. However, cleaning power and the amount of detergent are not proportional. Rather, it can remain on clothes and irritate the skin.
If you wear washed clothes and your body is itchy or itchy, you should suspect chemical irritation caused by residual detergent. More detergent is often added to laundry with a lot of sweat or contamination. However, the surfactant component, which is the core of washing, sticks to the contaminant in water and forms a round sphere. This sphere is called micelle, and when the surfactant reaches a certain concentration, it is no longer made. Even if you use a lot of detergent, it doesn't mean that your cleaning power will increase. Rather, the ingredients of detergent can remain in clothes.
In addition to surfactants, detergents contain numerous chemicals. ▲Highly alkaline ingredients include trisodium phosphate, which is at risk of pneumonia, ▲Sodium hypochlorite, which can cause chemical burns, and trichloroethylene, which has a sweet scent but is classified as carcinogenic grade 2A. If these components get stuck between the fibers and remain, they stimulate skin cells. The lipid component of the skin is destroyed, causing contact dermatitis. It can develop into eczema and folliculitis, and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ay experience rashes.
In order to eliminate the residual detergent, the amount of detergent must be reduced in the end. The same is true of liquid detergents that dissolve well in cold water and have excellent rinsing properties. In general, if the detergent concentration exceeds 0.25%, the residual detergent is left. It is best to follow the standard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aundry. If you are worried, it is also a way to add a cup of vinegar during the rinsing stage. This is because acidic vinegar removes alkaline residual detergent.